그때 그때 궁금한 잡다한 것/문과생의 생존 수학, 과학, 공학 알아가기

유전자의 정의는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가?

버트란드삐 2024. 6. 7. 23:01

ENCODE 프로젝트가 유전자의 정의를 어떻게 발전시켰는지 이해해봅니다.

전통적인 유전자의 정의


유전자란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정보를 가진 DNA의 조각입니다. 예를 들어, 눈 색깔을 결정하는 유전자가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유전자는 특정 단백질을 코딩하는 DNA의 연속적인 서열로 정의되었습니다. 이러한 정의는 유전자와 단백질 간의 직접적인 관계에 중점을 두었고, 주로 단백질을 생성하는 역할에만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ENCODE 프로젝트 이전의 이해

- 유전자: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가 담긴 DNA 조각.
- 프로모터: 유전자가 켜지고 꺼지도록 하는 스위치 같은 부분.
- 엑손과 인트론: 엑손은 단백질을 만드는 중요한 부분, 인트론은 엑손 사이의 덜 중요한 부분.

ENCODE 프로젝트의 발견


ENCODE 프로젝트는 유전자의 정의를 더욱 포괄적이고 복잡하게 확장시켰습니다. 이는 유전자와 그 기능적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비코딩 DNA가 실제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혀냈기 때문입니다.

1. 비코딩 DNA의 중요성
   -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DNA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유전자가 언제 켜지고 꺼지는지 조절합니다.

2. 복잡한 유전자 발현
   - 유전자 발현은 단순히 DNA에서 RNA로, RNA에서 단백질로의 일방적인 과정이 아니라, 다양한 조절 요소들에 의해 조절되는 복잡한 과정임을 밝혀냈습니다.
   - 후성유전적 변화: 유전자를 켜고 끄는 추가적인 스위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DNA에 붙은 작은 화학 물질이 유전자를 켜거나 끌 수 있습니다.



3. 상호작용 네트워크
   - 유전자들이 서로 어떻게 협력해서 우리 몸의 기능을 조절하는지 밝혀냈습니다.

새로운 유전자의 정의


이제 유전자는 단순히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가 아니라, 다양한 조절 요소들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했습니다.

- 유전자: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 + 그 정보를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 조절하는 요소들.
- 유전자의 정의는 단순히 단백질을 코딩하는 서열을 넘어서, 비코딩 RNA, 조절 요소, 후성유전적 변화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요소들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발전했습니다.
- 예를 들어, 눈 색깔 유전자는 그 색깔을 결정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언제 그 유전자가 발현될지 조절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합니다.

이렇게 ENCODE 프로젝트는 유전자가 단순한 정보 조각이 아니라, 여러 조절 요소가 함께 작동하는 복잡한 시스템이라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유전자 기능을 이해하는 데 있어 훨씬 더 포괄적이고 정교한 접근을 가능하게 했으며, 이는 유전학 연구와 질병 이해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